카디스 대학 박사 과정 공고
스페인 유학, 유럽 유학의 박사 과정 공고를 보던 중에 카디스 대학교의 지원 공고를 발견하였습니다. 그 당시 카디스 대학교에 대한 공고가 떴을 때, 이 도시가 어디에 있는 지 조차 몰랐습니다. 그래서 지도를 찾아 보았고, 스페인의 안달루시아 매우 좋은 위치에 있는 대학교 내 실험실 공고 였습니다.
이 지역은 여행지로 매우 유명하며, 물가도 매우 저렴한 장소로 스페인 인들에게 살기 좋은 지역으로 유명하다고 합니다. 또한 이 지역은 섬으로 되어 있으며 대서양을 향해 있습니다. 수 많은 관광객들이 방문하는 지역이라고 합니다. 이 지역의 대학교는 그렇게 유명하진 않습니다. 하지만, 공고 검색을 통해 마리 퀴리 펀딩에 의한 엄청 좋은 조건의 Ph.D. position의 공고를 발견하였습니다. 스페인의 카디스 대학을 지원했던 경험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저는 이 공고를 유럽 과학자 사이트에서 보고 지원하였습니다.
https://euraxess.ec.europa.eu/ (유럽 과학자 공고가 많이 들어 옵니다.)
이와 같이 그룹에 대한 소개가 간략하게 나옵니다.
이런 식으로 프로젝트 내용 및 지원을 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이 나옵니다. 이 실험실에서 IELTS 점수 5.0을 요구합니다. 이 실험실에서 요구하는 영어 성적이 그렇게 높지 않았습니다.
이렇게 얼마 받는지, 그리고 이 지원을 하기 위한 필수 조건 등이 적혀 있습니다. 약 월급으로 세전 약 3270 euro * 0.954 를 받는 고수익 박사 과정 (세전 월급이 약 430만원 정도) 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 대신, 스페인에서 3년 내 12개월 이상 어떠한 활동도 하지 말았어야 한다는 조건이 있습니다. 쉽게 말해 외국인 뽑는 전형입니다.
Motivation letter 작성 예시
Applying “MSCA-ITN 2020 PARENT-ESR-4 position”
Dear “Prof. Dr. Name”
Buenos dias! (스페인어)
My name is ” “, and I am from South Korea. I am currently taking a master’s course of “major” and working in “~~laboratory” in “University”, South Korea. The course will finish on August 2021 with having been passed a graduation exam. I have plan to move in Spain after the graduation and taking Ph.D. course with working laboratory.
간략한 자기소개를 우선 했습니다. (졸업하기 전이라 졸업 예정임을 알렸고, 졸업 시험도 통과했다고 적었습니다)
I will briefly explain what I researched in my master’s course. I have been working in “Lab” for 2 years. In this period, I learned about animal cell experiments of cell culture and analysis skills. For example, I studied cell’s response to “Project name + activity“. The main skill of the experiment was RT-PCR analysis with synthesis of RNAs to cDNA and several biomarkers were used for evaluating to cell’s reaction. Moreover, several assays, western blots, sandwich ELISA for measuring biochemical analysis were also performed. Including the basic skill of animal cell culture, I studied to “Addictional activity“. Lastly, I am developing computer programming skill now, such as bioinformatics with python. These skills are very suitable to analyze several biomarkers of miRNAs.
저는 miRNA에 대한 어떠한 경험도 없었기 때문에, mRNA를 확인하는 실험 방법인 RT-PCR을 어떻게든 연관 지어 설명하려고 했습니다. 또한 miRNA에 대한 내용을 읽다 보니 programming이 필수로 들어가기 때문에 어떻게든 programming에 대한 내용도 언급하였습니다.
2번째 단락
I am very motivated to research this laboratory, expressions of miRNA biomarker in brains of infants. When reading review papers about roles of miRNAs in brain development, I recognized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analyze miRNA molecule for infants’ brains to diagnosis. For example, miR-210 and miR-374a are good example to using biomarkers to evaluate diseases under hypoxic stress in brains of infant.
이런 식으로 실제 논문에서 사용한 예시도 넣었습니다. miR-210와 miR-374a는 잘 알려진 biomarker 입니다.
Moreover, these days, RNA therapy is developed fast because of covid-19 vaccines in Pfizer-BioNTech and Moderna. So, I expect that it is no trouble to pass several miRNA-based therapeutics which are undergoing clinical trials in EMA or FDA. Therefore, I strongly expect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have acknowledge of miRNA information for development of diagnosis using several biomarkers and therapeutics of changing miRNA composition skills.
이 부분은 아주 hot 한 기술인 RNA therapy를 언급함으로써 “나는 과학적인 면뿐만 아니라 응용 (Application) 까지도 관심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했습니다.
3번째 단락
If I research in FGIBICA/FCadiz in Cádiz laboratory, firstly I would like to force on main topic to analyze biomarker of miRNA in infant’s umbilical cord blood. To screen whole sRNAs sequencing excepting big size of RNAs, RT-PCR, microarray, or NGS will be used. After collecting these data, probably ‘big-data’, I would like to use or develop a program of bioinformatics using pythons. The program might be more comfortable to process large amount of information for evaluating biomarkers following diseases. With analyzing these biomarkers, I want to establish modeling following variants of composition of miRNA. If I can, I would like to develop new miRNA drugs. Several candidate miRNAs which can apply to disease-potential infant will be selected and treat in vitro condition. The in vitro condition would be conditioned by iPSC derived infants. I think that these processes will give us significant results and several candidate drugs.
–> 이 부분은 만일 내가 이 실험실에서 일한다면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이런 실험을 하고 싶다는 내용을 literature study를 통해 생각했던 내용들을 적었습니다.
Thank you for reading my cover/motivate letter. I really hope that we can discuss with these topics. I added my supervisor contact information below.
Reference [Supervisor professor]
Prof. Ph.D. “NAME“
Department of “Major”, “University”
Tel: “Number”
Email: “~~@~~”
Sincerely,
NAME
이렇게 마무리를 하며 Motivation letter를 작성하였습니다.
“지원하는 실험실의 연구에 대해 ~~ 만큼 이해하고 있고, 나는 ~~ 라는 구체적인 예시의 Ph.D. 과정을 할 자신이 있다.” 는 과정을 넣었습니다.
면접 요청 및 면접
면접 요청 메일이 왔고, 메일을 받은 3일 뒤에 면접을 요청 받았습니다. 면접 시간은 한국 시간 밤 11시 였습니다. 밤 11시 면접은 생각보다 쉽지 않았습니다. 저는 이 카디스 면접을 제가 봤던 면접 중에 “최하“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면접은 2분의 교수와 한 분의 포스트 닥터 과정이 참석하였습니다. 2분의 교수님은 많은 질문을 하지 않으셨으나 포닥 연구원은 CV를 중점으로 많은 것을 물어보았습니다. 특히 Lab-on-a-chip 분야와 Programming 분야에 대해 중점으로 물어보았습니다.
(제가 지금까지 봤던 면접 중에 제일 못 봤던 면접이었습니다. 밤 11시 면접이 잡히신다면 영어가 생각보다 잘 나오지 않을 수 있으니 조심하시길 바랍니다. )
면접의 결과는 한달 정도 걸려서 나왔으며, 안타깝게도 선택되지 못하였습니다. 결과는 면접 이후 약 한 달 뒤에 받았습니다. 역시, 살기 좋은 스페인의 안달루시아에서 이렇게 좋은 조건을 제시하니 수 많은 사람들이 지원하여 결과 발표가 늦어진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말 좋은 경험이었으며, 뉴런 과학과 Lab-on-a-chip의 colaboration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 이 실험실의 면접을 준비하면서 여러 가지의 과학적 지식을 쌓을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그 밖에 다른 정보 모음 포스팅 입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방문하셔서,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독일 유학 준비자를 위한 포스팅 정보
지금까지 포스팅했던 유학 준비 관련 포스팅 정보를 공유하는 포스팅입니다. 유학 준비 석사부터 유학을 갈까 아니면 박사로 유학을 갈까를 고민하시는 분들을 위한 포스팅입니다. https://kielian-
kielian-story.tistory.com
'유학 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뮌스터 대학교 (University of Münster) 박사 과정 지원 면접 후기 (6) (0) | 2023.05.04 |
---|---|
콘스탄츠 대학 (Konstanz) 생물학 박사 과정 면접 후기 (5) (0) | 2023.05.04 |
하노버 의대, 박사 과정 프로그램 (mhh) 지원 및 면접 후기 (4) (0) | 2023.05.04 |
독일 유학에서 영어 성적이 중요한가? (2) (0) | 2023.05.04 |
유럽 유학, 한국 석사와 독일 석사 과정의 차이점 (1) (3) | 2023.05.04 |